사진=구글
한국의 택시 서비스는 승차거부와 불친절로 국내에서 유명하다. 이에 비해 일본의 MK택시는 저렴한 요금과 높은 친절도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비교는 한국 택시 서비스의 개선 필요성을 더욱 부각시킨다.
실례로 필리핀 마닐라의 택시는 불친절로 악명 높다. 그로 인해 Grab 같은 공유 서비스가 활성화되었으며, 이는 필리핀에서 가장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필자가 Grab을 이용해본 결과, 친절하고 안전하며 요금이 택시와 비슷하지만 바가지나 팁을 요구하지 않아 높은 만족도를 경험했다. 이는 기존 택시 서비스의 문제점이 개선되지 않으면서도 새로운 대안이 생겨났음을 보여준다.
한국에서도 풀러스, 차차, 타다와 같은 공유경제 기반 차량 서비스가 운영된적이 있다. 필자 또한 차차, 타다를 이용해보았으며, 차차의 경우 전기차를 활용한 친환경 서비스를 제공받았다. 기사들은 대리기사 개념으로 매우 친절했으며, 이는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경험을 안겨주었다.
현재 국내 택시업계, 국토부, 서울시는 이러한 변화에 대해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서비스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소비자들은 더욱 혁신적인 서비스로 눈을 돌릴 것이다. 규제만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접근은 비효율적이며, 오히려 소비자들이 원하는 서비스를 제한하는 것은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
스마트폰의 발전으로 여러 업종이 사라진 것처럼, 택시 서비스도 변화해야 할 때가 왔다. 저비용항공사, 병행수입업체 등 다양한 혁신적인 서비스가 등장하는 시대에 택시업계가 변화에 적응하지 않는다면 점차 경쟁력을 잃을 것이다.
국토부와 서울시는 과거 대원군이 했던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기를 바라며, 국내 택시업계는 제도에 의존하기보다는 서비스와 체질개선으로 승부해야 한다. 소비자들이 원하는 서비스가 무엇인지 고민하고, 그에 맞는 개선을 이루어내는 것이 필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