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강원도민일보
정규 교사들의 담임 기피 현상이 갈수록 심화되면서, 담임 업무를 맡는 기간제 교사의 비율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초·중·고 전체 담임 교사 23만5970명 중 약 15.6%인 3만6760명이 기간제 교사였다. 이는 담임 교사 6명 중 1명꼴로 기간제 교사가 담임을 맡고 있다는 의미다.
정규 교사들의 담임 기피가 지속되면서 기간제 교사들의 담임 비율은 매년 상승하고 있다. 2019년 11.1%였던 기간제 담임 교사 비율은 2022년에 14.8%로 증가했으며, 지난해에도 1%포인트 가까이 더 오른 15.6%를 기록했다.
지역별로 보면, 부산이 21.3%로 가장 높은 비율을 기록했으며, 경북과 경남이 각각 18.5%로 뒤를 이었다. 광주(17%)와 서울(16.7%)도 전국 평균을 웃도는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이러한 상황의 배경에는 담임 교사들이 겪는 업무 과중과 감정 노동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진선미 의원실은 "정규직 교사들이 학생 지도와 학부모 대응 등 과중한 업무 부담과 감정노동의 강도 때문에 담임 교사직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고 밝혔다. 담임 업무는 단순히 학급을 관리하는 것 외에도 학부모와의 소통, 학생 생활지도 등 다양한 책임을 수반하기 때문에, 정규 교사들이 이를 기피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신규 정규 교사의 채용 인원이 줄어들면서, 부족한 인력을 기간제 교사로 채워야 하는 상황도 이러한 현상을 부추기고 있다. 지난해 기준 초·중·고에서 근무하는 전체 기간제 교사는 5만5822명으로, 이는 2019년 4만1198명에서 35.5% 증가한 수치다.
'교육공무원법' 제32조에 따르면, 원칙적으로 기간제 교사는 감독 직위에 임명될 수 없지만, 각 교육청은 정규 교사들이 담임을 맡지 않으려 할 경우 불가피하게 기간제 교사에게 담임 업무를 맡기고 있는 실정이다. 진 의원실은 정규 교사들의 담임 기피가 지속될 경우, 교육 현장에서 기간제 교사의 역할이 더욱 커질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교육 현장에서 담임 교사의 역할은 단순히 학급 관리만이 아니라 학생들의 생활 지도와 학부모와의 소통을 포함해 다양한 책임을 요구하는 직무로, 담임 기피 현상은 앞으로도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지속적인 정규 교사 채용 부족과 과중한 담임 업무 문제 해결 없이는, 기간제 교사에게 담임 역할이 더 많이 전가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