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구글뇌세포 외에 다른 신체 세포도 학습과 기억 능력을 갖고 있다는 새로운 연구가 발표됐다. 미국 뉴욕대(NYU) 연구진의 연구는 신경세포 외의 신체 세포가 반복적 자극에 반응해 '기억 유전자'를 활성화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를 이끈 니콜라이 쿠쿠슈킨 교수는 "기억은 단순히 뇌의 전유물이 아니라는 점에서 기억의 작동 원리를 새롭게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신경세포와 신장세포를 대상으로 화학 신호를 일정 간격으로 전달했을 때, 기억 유전자가 활성화되고 더 오랜 시간 작동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벼락치기보다 간격을 두고 학습할 때 기억력이 더 오래 유지되는 '집중-분산 효과'가 모든 세포에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쿠쿠슈킨 교수는 이러한 발견이 "우리 몸의 세포가 뇌처럼 기억과 학습에 관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췌장이 식사 패턴을 기억해 혈당을 조절하거나, 암세포가 화학요법 패턴을 기억해 저항성을 키울 수 있는 가능성을 예로 들었다. 이는 질병 치료와 기억 증진에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할 수 있는 중요한 연구 결과로 주목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