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선열 탄핵 집회 중인 시민들/사진=구글
의료계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 부결에 대한 규탄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서울의대와 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9일 성명을 통해 "국민의힘과 한동훈 대표는 헌법 절차에 따라 즉각 탄핵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하며 대통령 탄핵을 강력히 요구했다.
비대위는 7일 국회의사당 앞 집회 이후 성명을 발표하며, "헌법을 유린한 대통령은 탄핵을 통해 책임을 져야 한다"며 "이를 외면한 여당의 태도는 국민과 역사 앞에 부끄러운 일"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정부의 의료 정책이 의료 현장 붕괴를 초래했다는 점을 강조하며, 환자들이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비대위는 "정부의 즉흥적이고 일방적인 의료 개혁은 의료 대란을 초래했다"며 "여당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책임 있는 태도를 보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보건의료노조는 "국민의힘은 국민의 목소리를 외면하고 헌정질서를 파괴한 내란범의 책임을 묵과했다"며 국민의힘의 해체를 요구했다. 노조는 "탄핵 부결로 인해 헌법 질서가 위협받고 있다"며 "내란범 윤석열 대통령의 체포와 엄정한 법적 처벌을 통해 국민의 불안을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 의원들도 탄핵 부결에 반발하며 단식 농성에 나섰다. 남인순·이수진 의원을 비롯한 민주당 소속 의원들은 국회 앞 비상 농성을 시작하며 "국회가 계엄군에 짓밟혔던 군사독재 시절로 회귀할 수 있다는 두려움을 느낀다"고 밝혔다.
이들은 "윤석열 대통령의 즉각 탄핵만이 헌법적 절차를 지키는 유일한 방법"이라며 "국민의 목소리를 대변해 민주주의와 헌정질서를 회복하겠다"고 선언했다.
탄핵 부결 이후 의료계를 비롯한 각계의 반발이 이어지며 정치적 갈등이 심화되는 가운데, 정부와 여당의 대응이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