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유튜브캡쳐 국민의힘 윤상현 의원의 “1년만 지나면 국민들은 다 잊고 우리를 다시 뽑아준다”는 발언이 큰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윤 의원의 발언은 국민을 정치적 기억력이 부족한 존재로 폄하하며, 유권자의 권리와 책임을 가볍게 여긴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정치권과 시민사회에서는 윤 의원의 발언이 국민을 '개돼지'로 비하한 것과 다름없다고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국민은 정치인의 실수와 무책임을 잊는다는 생각 자체가 국민의 판단을 무시한 오만함의 극치”라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이런 발언이 여론의 비판을 무시하며 선거 승리에만 집중하려는 정치적 계산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정치인은 국민의 신뢰를 바탕으로 책임과 윤리를 다해야 한다”며, “국민을 모욕하는 발언을 한 윤 의원은 즉각 사과하고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상현 의원 논란과 더불어, 국민의힘 김재섭과 김용태 의원의 앞뒤가 다른 행동도 도마에 올랐다. 평소 개혁과 쇄신을 주장해온 두 의원이 정작 주요 사안에 대해서는 당 지도부의 입장을 지지하거나 침묵하며 책임 있는 태도를 회피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김재섭 의원은 국민 앞에서는 당 개혁과 공정을 강조해 왔지만, 정작 당내 논란이 되는 주요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입장을 표명하지 않거나, 논란에 휩싸인 인사들을 옹호하는 모습을 보여 왔다. 이는 그의 발언과 행동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비판을 낳고 있다.
김용태 의원 역시 비슷한 상황이다. 당내 쇄신파로 알려진 그는 언론 인터뷰나 공식 석상에서 당의 도덕성과 투명성을 강조했지만, 정작 내부에서 문제가 발생할 때는 지도부의 결정에 동조하거나 상황을 방관하는 태도를 보였다.
정치 평론가들은 두 의원의 행보에 대해 “국민은 이제 발언과 행동이 다른 정치인을 더 이상 신뢰하지 않는다”며, “개혁과 쇄신을 외치면서도 이를 실천하지 못한 김재섭과 김용태 의원의 정치 생명은 사실상 끝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더욱이 쇄신파로서 기대를 받았던 그들의 행동이 오히려 당내 보수 세력의 논리에 기여하거나 책임을 회피하는 모양새로 비쳤다는 점에서, 국민들은 이들에게 다시 기회를 주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결국, 정치인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국민과의 신뢰다. 그 신뢰를 저버린 정치인들에게 더 이상 설 자리는 없다. 왜냐하면 국민은 개돼지가 아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