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크우드 봄의원의 자궁보존 통합센터 김인현원장 수술 모습 최근 자궁근종 환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자궁근종 환자는 2019년 43만5147명에서 2023년 63만8683명으로 약 46% 증가했다. 가임기 여성에서 발병률이 높아짐에 따라 자궁근종 제거수술을 고려하는 환자도 늘어나고 있다.
자궁근종은 자궁 근육층에 생기는 양성 종양으로, 초음파 검사에서 가임기 여성 10명 중 7명에게서 발견될 정도로 흔한 질환이다. 주요 원인은 여성호르몬(에스트로겐)이며, 빠른 초경, 비만, 인종, 가족력, 환경적 요인 등이 영향을 미친다. 폐경 이후에는 근종이 일부 줄어들기도 한다.
발생 위치에 따라 근층내 근종, 점막하 근종, 장막하 근종으로 구분되며, 증상은 근종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자궁내막 쪽에 위치한 점막하 근종은 과다 월경과 빈혈을 유발할 수 있으며, 장막하 근종은 골반 압박 증상, 변비, 빈뇨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오크우드 봄의원 김인현 원장은 “자궁근종 치료법으로 고강도 초음파 집속술(HIFU, 하이푸)이 주목받고 있다”며, “이 방법은 자궁 정상 조직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근종의 성장을 억제하는 치료로, 시술 후 6개월이 지나면 근종 부피가 평균 50% 감소한다”고 설명했다.
하이푸는 자궁을 보존해야 하는 가임기 여성에게 적합하며, 자궁 내막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가임력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하이푸 치료는 의료보험이 적용되지 않으며, 실비보험의 적응증에 따라 보장 여부가 결정되므로 의료진과의 충분한 상담이 필요하다.
증상이 심하거나 근종의 크기가 크다면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최근에는 개복수술 대신 복강경 수술이 일반적이며, 특히 단일공 복강경수술이 선호된다. 단일공 복강경수술은 배꼽을 통한 최소 침습적 수술로 흉터가 거의 남지 않고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일부 대학병원 및 전문병원에서는 로봇복강경수술을 권장하지만, 이는 수술비가 높은 편이다. 반면,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일반 복강경수술은 회복이 빠르고 흉터가 적어 환자들에게 실용적인 선택이 될 수 있다. 김 원장은 “자궁근종 수술을 고려할 때는 의료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하고, 경험이 풍부한 전문의를 찾아 맞춤형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자궁근종은 초기에는 증상이 없을 수 있어 정기적인 초음파 검진과 상담이 필수적이다. 특히 생리 과다, 유산, 불임, 생리통, 빈뇨, 변비 등의 증상이 지속된다면 반드시 부인과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궁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고,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조기 발견과 맞춤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가임기 여성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인 관심과 관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