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얼미터 조사 결과 이미지/이미지=리얼미터 SK텔레콤의 유심(USIM) 해킹 사태 이후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불안감이 고조되는 가운데, 이용자들의 계약 해지 요구와 위약금 면제 논란이 뜨겁다. 최근 여론조사에서 10명 중 7명이 넘는 응답자가 "회사의 귀책 사유일 경우 위약금을 면제해야 한다"고 응답해 통신사 책임론이 힘을 얻고 있다.
■ “회사의 책임, 고객에게 전가 안 돼”... 77.2% 위약금 면제 찬성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7.2%가 “회사의 귀책 사유가 있을 때는 위약금을 면제해야 한다는 약관에 따라, 고객이 원할 경우 위약금은 면제되어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피해 사실이 입증된 경우에만 면제해야 한다는 의견은 13.8%, 타 통신사와의 형평성 문제를 제기한 응답은 3.7%에 불과했다.
■ 20~50대, 수도권 직장인일수록 “면제 당연”... 통신사 불문 공감 확산
특히 경기·인천 거주자(85.8%)와 20대(83.4%), 30대(81.0%), 40대(86.1%), 50대(80.3%)에서 위약금 면제 주장에 높은 공감대를 보였으며, 직업군 중에서는 사무·관리·전문직 응답자의 87.1%가 면제를 지지했다. 현재 이용 중인 통신사와 상관없이 SKT 고객(74.2%)뿐 아니라 KT(73.3%), LGU+(82.9%), 알뜰폰 이용자(83.9%)들도 같은 의견을 내놨다.
■ “SKT 떠날 수 있다” 43.3%... KT·LGU+ 전환 이력도 확인돼
현 SKT 이용자 228명 중 43.3%는 유심 해킹 사태로 인해 타 통신사로의 전환을 고려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KT, LGU+, 알뜰폰 사용자 중에서도 과거 SKT에서 이동해온 비율은 14.1%로 조사됐다. SKT 충성 고객의 이탈 가능성이 현실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 “개인정보 보호, 신뢰 어렵다” 55%... SKT 불신 비율 65%
전체 응답자의 절반 이상인 55%는 “이동통신사의 개인정보 보호를 신뢰하지 않는다”고 응답했으며, 특히 SKT 이용자의 65.0%가 불신을 표시했다. 반면 KT(신뢰 52.7%)와 LGU+(51.0%)는 신뢰 비율이 과반을 넘으며 대비됐다.
■ 보안 개선, “투자 확대”와 “보상 책임 명확화” 요구 가장 커
디지털 보안사고 방지를 위한 최우선 과제로는 ‘보안 인프라 투자 확대’(33.6%), ‘사고 시 책임 규정 명확화’(33.2%), ‘처벌 및 법 제도 강화’(28.4%)가 꼽혔다. 이는 이용자들이 단순한 사과나 보상보다는 시스템 개선과 책임 있는 대응을 원하고 있다는 의미다.
■ 통신사 선택 기준도 변화… “요금제” 다음은 “보안”
이동통신사 선택 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요금제 가성비’(36.0%)였으며, 그 뒤를 이어 ‘통화 및 데이터 품질’(22.0%), ‘개인정보 보안’(18.2%) 순이었다. 기대하는 개선 방향 역시 ‘개인정보 보안 강화’(34.6%)와 ‘요금 인하’(32.5%)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