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구글
충치는 치아 구조가 비가역적으로 파괴되는 대표적인 구강질환으로, 치료보다 예방의 중요성이 점점 더 부각되고 있다. 흔히 어린이 질환으로 여겨지던 충치가 최근에는 성인들 사이에서도 반복적으로 발생하거나 재치료로 이어지는 사례가 늘면서 조기 진단과 치료의 필요성에 대한 경각심이 커지고 있다.
충치는 초기에는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고 통증도 거의 없어 방치되기 쉽다. 그러나 내부에서는 이미 법랑질의 탈회가 시작되며, 시간이 지나면서 상아질, 나아가 치수조직까지 침범하게 된다. 이로 인해 통증이 나타날 때쯤이면 이미 치료가 복잡해지고 비용도 상승하는 경우가 많다.
많은 환자들이 초기 진단 후에도 "조금 더 지켜보자"는 태도로 치료를 미루는 경우가 있으나, 충치는 결코 자연 회복되지 않는 질환이다. 특히 감염이 신경까지 퍼지면 간단한 레진 치료로는 부족하며, 신경치료 및 크라운 수복 등 복잡하고 고비용의 치료가 불가피해진다. 이는 치아의 강도와 수명에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충치의 치료 방식은 진행 단계에 따라 달라진다. 초기에는 불소 도포나 작은 충전 치료로도 진행을 막을 수 있지만, 중기 이후에는 인레이, 온레이, 크라운 등의 보철 치료가 필요하다. 치아 구조가 약해진 상태에서 무리하게 자연치를 보존하려다 되레 파절되거나 재치료로 이어질 수 있어, 전문가의 정확한 판단에 따른 대응이 중요하다.
최근에는 심미적 수요와 기술 발전에 따라 레진 치료나 레이저 진단 장비가 활발히 도입되고 있지만, 치료의 핵심은 여전히 정확한 진단에 있다.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충치는 치과 방사선 촬영이나 정밀 진단 장비 없이는 조기 발견이 어렵기 때문에, 정기적인 구강검진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충치가 신경까지 진행되면 찌릿한 통증이나 음식물 접촉 시 예민한 반응이 나타나며, 이 경우 복잡한 치료 절차가 불가피해진다. 반면 충치가 깊어지기 전, 조기에 치료하면 자연치아를 보존하면서도 간단한 시술만으로 충분한 관리를 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충치는 치료 시점에 따라 예후가 크게 달라지는 대표적 질환”이라며, “작은 변화도 놓치지 않고 정기적으로 치과를 방문해 전문가의 진단을 받는 습관이 건강한 치아를 지키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라고 조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