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tbc 토일드라마 '백번의 추억'/사진=구글
“이번 정거장은 개봉 사거리입니다~ 내리실 분 없으면 오라이~.”
1980년대 서울 시내를 달리던 버스 안, 안내양의 목소리는 도시의 소음 속에서도 유난히 따뜻하게 들렸다. 정류장을 알리고, 승객의 요금을 거두고, 때로는 아이의 손을 잡아주던 안내양은 단순한 직업인이 아니라 버스라는 작은 세계의 ‘친절한 주인공’이었다.
당시 버스에는 자동 요금함도, 교통카드도 없었다. 승객이 내는 동전과 지폐를 거두고, 표를 끊어주며, 차 안의 질서를 지키는 것이 안내양의 일이었다. 어린 학생부터 직장인, 장바구니를 든 아주머니까지 매일같이 만나는 승객들의 사정을 눈빛 하나로 알아주던 존재였다. 가족의 생계를 위해 이 일을 택한 이들도 많았다. 안내양의 손에 들린 펀치와 밝은 목소리는 한국 사회의 산업화와 도시화 과정에서 누구나 기억하는 풍경이었다.
그러나 안내양의 자리는 오래가지 못했다. 1980년대 후반 자동 요금함이 도입되고, 1990년대에는 교통카드 시스템까지 보급되면서 안내양의 가장 큰 역할이었던 요금 징수는 불필요해졌다. 게다가 버스 회사들은 인건비 절감을 이유로 안내양 제도를 줄였고, 결국 오늘날 시내버스에서는 더 이상 안내양을 찾아볼 수 없다. 대신 기계음 안내 방송과 카드 단말기가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효율성과 편리함은 분명 지금이 훨씬 낫다. 하지만 사람의 목소리와 눈맞춤, 손길이 주던 따뜻함은 어디서도 찾기 어렵다. 버스 안 풍경이 한층 ‘무심한 공간’으로 변한 이유도 바로 그 때문이다. 안내양은 단순히 정류장을 알리는 사람이 아니라, 승객들에게 작은 안도감을 주던 존재였다.
아이러니하게도, 지금처럼 인공지능이 우리의 삶 깊숙이 들어온 시대에 오히려 안내양이 그리워진다. 기계음이 아무리 정확하게 목적지를 알려도, 불안한 승객에게 미소 지으며 “다음 정거장에서 내리시면 돼요”라고 말해주는 따뜻함은 흉내낼 수 없다.
만약 안내양이 지금까지 있었다면 어땠을까. 실시간 노선 정보를 알려주고, 외국인 승객에게 다국어로 안내하며, 노약자의 손을 잡아주는 ‘스마트 안내양’으로 발전했을지도 모른다. 기술이 편리함을 선사하지만, 결국 인간적인 온기를 대신할 수는 없다는 사실을 우리는 잊지 말아야 한다.
버스 안내양은 이제 역사 속 직업이지만, 그들의 목소리와 웃음은 여전히 세대의 기억 속에 살아 있다. 그리고 오늘, AI 시대의 차가운 편리함 속에서 우리는 다시 묻는다.
“편리함은 늘어났지만, 혹시 따뜻함은 잃어버린 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