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후터스, 미국에선 전설… 한국에선 왜 실패했나
  • 편집국
  • 등록 2025-09-30 00:45:55
  • 수정 2025-09-30 00:52:34

기사수정

이미지=구글

1983년, 플로리다의 작은 술집에서 여섯 명의 평범한 아저씨들이 모였다. 맥주잔을 기울이며 “싼 건물 하나 인수해 술집이나 해보자”는 농담 섞인 제안에서 시작된 아이디어가 연매출 10억 달러 규모의 글로벌 브랜드 후터스(Hooters)로 성장할 줄은 아무도 몰랐다. 만우절 장난처럼 출발한 이 가게는 특유의 오렌지색 핫팬츠와 흰색 민소매 차림의 ‘후터스 걸(Hooters Girl)’로 미국 전역을 휩쓸며 하나의 문화 아이콘이 됐다.


미국을 사로잡은 '건강한 판타지'


후터스의 성공 비결은 단순했다. 스트리퍼 대신 동네 치어리더나 인근 대학의 인기 여학생을 채용해 ‘옆집 누나 같은 발랄한 매력’을 무기로 내세웠다. 고객은 호기심에 가게 문을 열었지만, 자리에 앉으면 바삭한 치킨 윙과 시원한 맥주에 빠져들었다. 실제로 후터스의 치킨 윙은 뉴욕 버팔로 윙 페스티벌에서 수차례 수상하며 ‘세계 최고 윙’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성공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1990년대 미국 연방정부는 남성 웨이터를 고용하지 않는 점을 문제 삼아 소송을 제기했다. 후터스는 “우리는 단순 종업원이 아닌 ‘모델’ 역할을 고용한 것”이라며 맞섰고, 기발한 여론전을 통해 정부를 조롱거리로 만들며 결국 승소했다. 이 사건은 후터스를 더욱 유명하게 만들었다.


이미지=구글

한국 진출, 치명적인 오판


1997년, 후터스는 아시아 시장 교두보로 서울 압구정을 택했다. 본사는 ‘옆집 치어리더 콘셉트’가 한국에서도 통할 것이라 믿었지만, 결과는 정반대였다.


개점과 동시에 여성단체의 거센 반발이 이어졌고 언론은 연일 ‘선정성 논란’을 다뤘다. 미국에서 후터스 걸은 무대 위 배우처럼 ‘역할’을 수행하는 존재였지만, 한국 고객에게는 유흥업소 종업원과 다르지 않게 보였다. 무대와 객석을 구분하는 문화적 경계가 사라진 순간, 후터스는 ‘룸살롱 유사업소’라는 낙인을 피할 수 없었다.

여기에 또 다른 문제가 겹쳤다. 당시 한국 후터스에서 근무한 여성들은 미국 후터스 걸들이 보여주던 ‘건강미 넘치는 치어리더 이미지’와 비교해 외모나 체형 등에서 차이가 컸다. 결국 손님들에게 큰 매력 포인트를 주지 못했고, 본사가 기대했던 ‘이미지 효과’는 반감됐다. 후터스가 의도한 ‘친근한 판타지’는 한국에서는 어정쩡한 콘셉트로 변질돼 버린 것이다.




이미지=구글


남은 건 치킨 윙뿐이었다


아이러니하게도 후터스의 진짜 무기는 주황색 핫팬츠가 아니라 치킨 윙이었다. ‘벌거벗은 닭날개’라는 별칭의 메뉴는 이중 조리법으로 겉은 감자칩처럼 바삭하고 속살은 백숙처럼 촉촉했다. 뉴욕에서 이미 수차례 수상하며 세계적 명성을 얻은 그 맛은 한국에서도 충분히 통할 만했다.


하지만 후터스는 문화적 맥락과 현지인의 시선을 읽지 못했고, 인력 구성까지 전략적 차이를 극복하지 못했다. 결국 ‘치킨 맛집’으로 자리잡을 기회조차 잡지 못한 채, 한국에서는 흉가 체험 같은 호기심 공간으로 전락해 조용히 철수했다.


후터스의 한국 실패는 음식의 문제가 아니라 문화적 오해와 이미지 관리 실패에서 비롯됐다. 글로벌 브랜드의 성공 공식이 언제나 보편적이지는 않다는 점을 보여주는 사례로 남았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살며 살며’, 홍정애 작가의 따뜻한 출판기념회로 새로운 출발을 알리다 지난 11일, 충북 음성에서 열린 홍정애 작가의 ‘살며 살며’ 출판기념회가 성황리에 마무리되었다. 이날 출판기념회는 작가의 첫 번째 산문집 ‘살며 살며’를 기념하는 자리로, 많은 팬들과 독자들이 참석해 작가와의 소통을 이어갔다.행사는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역말풀갤러리에서 열렸으며, 작가의 진심이 담긴 인사말과 함...
  2. 한류문화관광총연합회, 필리핀 세부 ‘시눌룩 축제’와 MOU 체결 한류문화관광총연합회(회장 장한식)가 2026년 필리핀 대표축제인 ‘세부 시눌룩(Sinulog) 축제’와 문화 교류 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한국 전통공연단이 축제 공식 무대에 오르며, 한류문화의 세계적 확산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시눌룩 축제는 매년 1월 셋째 주 필리핀 세부에서 열리는 최대 규모의 문화행사로, 아기 ...
  3. 주한미군, 워싱턴은 철수를 말하지만, 그들은 남고 싶다. 최근 워싱턴과 서울을 오가며 다시 고개를 든 ‘주한미군 철수론’은 언제나 그렇듯 정치적 파장을 동반한다. 그러나 정작 한국 땅에서 근무하는 미군 장병들에게 ‘철수’는 현실감이 떨어지는 단어다. 그들의 일상은 이미 ‘남고 싶은 근무지’, ‘정착형 기지’라는 표현에 가깝다.평택, 미군이 말하는 ‘드림...
  4. 김정훈, 6년 만의 국내 복귀 상류층 빌라를 무대로 얽히고설킨 부부들의 비밀과 불륜, 감시, 복수를 다루는 드라마 ‘부부 스캔들: 판도라의 비밀’(가칭)에 가수 겸 배우 김정훈이 합류한다. 김정훈은 심리상담사이자 관찰자인 ‘우진’ 역을 맡으며, 2019년 사생활 논란 이후 중단했던 국내 활동을 재개한다.UN 출신 아이돌에서 배우로김정훈은 2000년 듀오 &l...
  5. 환절기, 왜 유난히 머리카락이 많이 빠질까 기온이 급격히 변하는 환절기에는 머리카락이 평소보다 많이 빠진다고 느끼는 이들이 많다. 머리를 감거나 말릴 때, 빗질할 때마다 손에 잡히는 머리카락이 늘어나며 단순히 계절 탓으로 돌리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로는 신체 변화와 관련된 생리학적 원인이 있다.기온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몸은 더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고, 이 과정에서 ..
  6. 노벨상 전광판에 뜬 ‘한일전 스코어 27:0’… 기초과학이 아닌 ‘스펙’에 투자한 사회의 결과 스포츠 경기라면 온 국민이 분노했을 한일전 스코어가, 올해는 노벨상 전광판에 선명히 찍혔다. 일본 27명, 한국 0명. 일본은 1949년 이후 매년처럼 노벨 과학상 명단에 이름을 올렸지만, 한국은 여전히 ‘0’의 늪에 갇혀 있다.겉보기에는 투자도, 통계도 일본과 다르지 않다. OECD R&D 통계에 따르면 일본은 전체 연구개발비의 12%를, 한...
  7. 노벨화학상이 주목한 핵심 물질 'MOF' 상용화한 숙명여대 스타트업 랩인큐브 관심 올해 노벨화학상의 핵심 물질인 금속유기골격체(MOF, Metal-Organic Framework) 소재를 공기청정기, 필러 등 생활 속 제품에 처음으로 적용한 기업이 숙명여대 스타트업 랩인큐브로 알려져 주목받고 있다. 창업자인 숙명여대 화공생명공학부 최경민 교수는 노벨상 수상자 중 한 명인 오마르 야기 미국 UC버클리 교수 연구실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
  8. [살며 살며] 3. 새마을 운동 삼일절에 태극기를 달았다.나는 노래를 불렀고 엄마 아버지도 노래를 부르는 나를 보시고 호탕하게 웃으셨다.새벽종이 울렸네. 새 아침이 밝았네. /너도나도 일어나 새마을을 가꾸세. 초가집도 없애고 마을 길도 넓히고 /푸른 동산 만들어 알뜰살뜰 다듬세. 살기좋은 내 마을 우리 힘으로 만드세아버지는 큰마차로 가서 반장이 되고 4H 지도..
  9. 김연경의 ‘신인감독 김연경’, 비드라마 화제성 1위… 여자배구 제8구단 향한 ‘진짜 도전’ MBC 예능 프로그램 ‘신인감독 김연경’이 방송 2회 만에 폭발적인 화제성을 일으키며 주목받고 있다.콘텐츠 화제성 분석 기관 굿데이터코퍼레이션의 TV-OTT 비드라마 출연자 화제성 조사에서 김연경은 1위를 차지했다. 이번 평가는 9월 29일부터 10월 5일까지 방송 및 예정된 비드라마 콘텐츠 188편을 대상으로 뉴스, 블로그·커뮤니티...
  10. 코웨이, ‘비렉스 모던 라운드 프레임’ 출시 베스트 라이프 솔루션 기업 코웨이(대표 서장원)가 곡선형 헤드보드 디자인과 프리미엄 원단으로 고급스러움을 높인 ‘비렉스(BEREX) 모던 라운드 프레임’을 출시했다. 코웨이 비렉스 모던 라운드 프레임은 헤드보드 양측의 곡선형 날개 디자인이 침대 머리맡을 부드럽게 감싸 아늑함을 더했다. 날개 부분은 여유로운 깊이로 적용돼 ..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